참고자료BOOK

19세기-20세기 남미 페루에서 벌어진 '새 똥(Guano)' 확보 경쟁

노바티오 2024. 9. 20. 23:54

남미의 페루(Peru)에 있는 Chincha Island는 19세기 말까지 새똥 확보 경쟁으로 유명한 곳이었습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새들의 분비물이 해안가 절벽에 쌓인 양이 약 200만 톤에 달했습니다.

01

새의 분비물 덩어리가 농작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유럽 국가들이 이 곳으로 몰려들었습니다. 무분별한 구아나(Guana) 채집 경쟁으로 1874년에 새들이 만든 자연의 농축물은 그 맥이 결국 끊겼습니다. 

A huge 2,000,000 tonne heap of guano on the Chincha Islands, Peru. Guano is the excrement of birds or cave-dwelling bats. It is a highly effective manure and fertiliser. The Chincha Islands were of interest for their extensive guano deposits, but the supplies were mostly exhausted by 1874. 

- Source: 'Chincha Island' on Sciencephoto.com 

 

새똥에는 농작물의 성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질산과 암모니아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새똥이 고체화 된 '구아노(Guano)'라는 물질이 유럽으로 수출되었습니다.

 

페루는 덕분에 18세기-19세기 말까지 상당한 부유함을 누렸습니다. 독일의 화학자들이 공기 중에서 암모니아를 인공적으로 생성하기 전까지 만...

012
암모니아 생성과 소멸 사이클, Haber & Bosh (Source: Britanica, Wikipedia)

 

1913년 독일의 화학자 Haber & Bosch는 공기 중에 포함된 '질소'를 '암모니아 비료'로 만드는 공법을 개발했습니다. 공기 (대기)중의 질소와 산소의 비율은 약 78% vs 21%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일이 개발한 질소, 암모니아 인공 생산 기술로 인해, 칠레는 당대의 번영을 뒤로 하고 급속하게 쇠태했습니다.


(참고자료 Reference)

  • Ed Conway, <Material World>, Page 165-168 & 173
  • Chincha Island, Sciencephoto.com
  • Air, Wikipedia.org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