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혹은 기업들의 투자 수단으로 활용되는 '표준 골드 바'(Gold Bar)의 무게는 약 12.4kg (=400 Troy Ounces)이다.

가격은 미국 달러로 대략 USD 931,520 전후로 거래되고 있다. 한국 화폐로 환산한 가격은 약 12억 3천 9백만 원이다. (*환율 1 USD = 1,330 KRW 기준)
실로 엄청나고 귀중한 자산이기에 이것 하나만 가지고 있으면 먹지 않아도 배가 부를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골드 바(Gold Bar)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 금광에서 약 5,000톤 정도의 바위를 폭파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에어버스 Airbus에서 제작한, 세상에서 가장 큰 슈퍼 점보 제트기인 'A-380' 의 무게는 승객과 화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약 500톤 전후이다. 골드 바 1개를 만들기 위해 A-380 총 10대(*)에 해당하는 무게만큼 땅이나 바위를 파내야 하는 셈이다.
골드 바는 너무 비싸서 웬만한 부자 아닌 이상에는 구매가 무척 어렵다. 그래서 보통의 연인들은 결혼식, 약혼식과 각종 기념일에 사랑의 징표로 금반지를 서로에게 끼워준다.
보통의 작은 금반지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도 약 0.3톤(300kg) 정도의 광석을 정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파괴되는 바위는 최소 4톤에서 최대 20톤(*)에 달한다.
현대인들의 욕망을 채워 줄 노란색의 골드 바와 작은 금반지를 얻기 위해 '금이 나는 지역'은 상상을 넘어서는 거대한 면적이 훼손된다. 그 규모가 너무나 광할하여 위성에서 보아도 확연히 눈에 들어온다.

오늘 이 시간에도 금광에서는 겨우 1.4 그램(g)의 순금을 얻기 위해 평균적으로 1톤(1,000 kg) 분량의 땅이나 바위를 파내거나 부수고 있다.
미국 네바다 주 사막에 위치한 Cortez Gold Mine의 규모는 지상에서 파 들어간 바닥까지 깊이만 1.3킬로미터에 달한다. 이와 별도로 광산 언덕에서 파내려 간 옆에 있는 지하 광산의 깊이는 최대 약 3km(**)에 이른다.
지상에서 폭 1.7 km 넓이로 파 내려간 금광 저 밑바닥에서 지표면까지는 거대한 트럭들이 운행 중이다.

거대한 트럭들이 하루에 나르는 화물의 총 무게는 미국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Empire State Building (USA) 무게와(약 365,000 톤) 거의 동일하다.
운반 트럭의 거대한 타이어 하나의 높이는 2층 버스 높이와 맞먹으며, 트럭 자체의 크기는 3층 빌딩 높이(*)와 비슷하다.
이처럼 인류는 노란색의 작은 희귀 금속 1 그램(g)을 얻기 위해 엄청난 면적과 수 킬로미터(km) 지하를 끊임없이 탐험 중이다.
<참고자료 Reference>
- (*)Ed Conway, <Material World>, Introduction, Page 3 & Page 4
- (**) C. E. McFarland & N. W. Kirshenbaum, "The Cortez story: 125 years of evolution and innovation", Mining, Metallurgy & Exploration Journal, Volume 8, pages 57–64, (1991), 01 May 1991
'참고자료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 200년 동안 세계화로 직진하던 세상이 지역주의로 유턴을 시작했다’ (3) | 2024.12.01 |
---|---|
19세기-20세기 남미 페루에서 벌어진 '새 똥(Guano)' 확보 경쟁 (6) | 2024.09.20 |
유리, 광섬유, 콘크리트의 공통 분모는 모래(Sand)이다 (2) | 2024.09.17 |
(BOOK) 우리의 과거와 미래에 필수적인 '6가지 핵심 물질'에 관한 실질적인 이야기 'Material World' By ED CONWAY (3)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