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경제기업18 현관 앞까지 찾아가 재활용품 분리수거를 해 주면서 '넷플릭스의 월정액 구독 방식'으로 돈을 버는 기업이 있다. 재활용품 수거 전문 기업 '리드웰(Ridwell, USA)' 한국은 재활용품 분리 수거함에 물건을 가져다 놓으면, 행정기관에서 지정한 수거 업체가 와서 정해진 요일에 가져가는 편리한 시스템으로 사회가 돌아간다. 거주민이 물품 수거 비용을 추가로 내는 일은 전무하다. 재활용품 분리수거에 국민이 낸 세금으로 운영하는 국가(지방자치단체)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미국은 각 주(State)마다 수거하는 품목과 수거 방식이 다양하다.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재활용 및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민간 폐기물 관리 업체에 위탁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다. 쉽게 설명하면, 거주민들이 넷플릭스(Netflix)를 구독하듯 민간 업체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월정액을 지불하면 해당 업체가 대문 앞까지 찾아와 재활용품을 수거해 가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위와 같은 서비스를 미국.. 2025. 5. 24. 전통적인 항공기와 조만간 이별할 준비를 해야 할 지도 모르겠다. 수소(Hydrogen) 엔진 항공기가 오고 있다 에어버스(AirBus), 2035년부터 수소 항공기 운항 시작 (목표) 한국인들은 영국의 롤스로이스(Rolls Royce)를 고급 자동차 제조회사로 만 알고 있다. 그러나, 롤스로이스는 항공기 엔진 개발 및 생산 전문 기업이다. 항공기 엔진 산업이 주력이고, 고급 차량 제작은 그 다음이다.미국 보잉사와 경쟁하고 있는 유럽 '에어버스'의 모든 항공기 엔진은 놀랍게도 '롤스로이스'가 제작 및 공급하고 있다. 지난 2023년 롤스로이는 수소 항공기 엔진을 연구 개발에 성공했다. 현재는 민간 항공기에 장착하여 시험 테스트 중이다.일반적인 수소 자동차는 상용화가 완료되어 스웨덴, 일본, 한국 등 주요 국가에서 운영 중이다. 자동차보다 훨씬 고출력이 필요한 수소 엔진 항공기도 조만간 정식 운행을 시작할 것 같다. .. 2025. 5. 22. 트렉스 TREX(USA): 지속 가능한 합성 데크의 선두주자 본문 요약) 트렉스(Trex Company)는 지속 가능한 실외 건축 자재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의 합성 데크 및 난간 제조업체로, 1996년 설립 이후 재활용 소재를 활용하여 급성장하고 있다. 2024년 예상 매출 12억 달러, 순이익 2억 2천 6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목재 대체 합성 데크 및 난간 제조업체인 트렉스 Trex Company가 지속 가능한 실외 생활 시장을 선도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1996년 설립된 Trex는 버려지는 플라스틱과 목재 폐기물을 혁신적으로 재활용하여 고품질의 친환경적인 데크 및 실외 건축 자재를 생산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트렉스Trex의 시작은 유기 화학자 로저 위튼버그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목.. 2025. 5. 20. 버려지는 식재료에서 건강한 영양 간식을 만드는 캐나다 핼리팩스의 아웃캐스트 푸드(Outcast Foods) 매일 쏟아지는 엄청난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직면한 오늘의 세상이다.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 핼리팩스에 이 문제를 해결할 뿐 만 아니라, 아이디어를 더해 새로운 식품을 만들고 있는 독특한 회사 하나가 있다. 2017년, 북미 아이스하키 리그 선수였던 TJ 갈리아르디, 그리고 영양 과학 전문가인 대런 버크 박사가 함께 설립한 아웃캐스트 푸드(Outcast Foods)! 버려지는 과일과 채소를 고부가가치의 식품 원료 및 소비자 제품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독특한 사업모델과 미래 성장가능성 덕분에 사업 초기에 1,420만 달러, 약 190억 원이 넘는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투자금으로 캐나다 온타리오에 공장을 새롭게 설립하였고, 이 공장만으로 연간 최대 400억 원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 2025. 5. 13. 블루 스트라이프스: 카카오의 혁신적 재활용 전통적인 초콜릿 생산 방식은 주로 카카오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콩"을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 열매 껍질의 70~75%가 쓰레기로 버려집니다. 세계 최대의 카카오 열매 생산국은 인도네시아로 전체 생산량의 17% 전후를 차지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약 50만 톤 이상의 카카오 열매 껍질이 쓰레기로 버려졌습니다. 카카오 쓰레기 50만 톤을 8톤 트럭으로 환산해 보면, 총 6만 2천 5백 대 분량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인 8톤 트럭의 길이는 약 10~12미터 정도입니다. 이런 대형 트럭들이 1열로 줄지어 쓰레기 매립지로 달려가고 있다고 상상을 해 보면, 총 길이는 약 625 킬로미터에서 750 킬로미터에 달합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직선 거리 약 325km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엄.. 2025. 5. 11. 버려지는 식재료를 고급 요리로 탈바꿈 하고 있는 음식의 연금술사-덴마크 코펜하겐의 레스토랑 '알케미스트'(Alchemist)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레프샬레엔(Refshaleøen, Copenhagen) 항구에 있는 2층 건물 주방에서는 초콜릿을 템퍼링하고 있고, 위층에서는 타코와 단백질 바가 서빙되고 있다.이곳은 최근 문을 연 스몰 플레이트 레스토랑의 오픈 행사가 아니라, 우리가 먹는 음식을 "고차원으로 업그레이드(업사이클링)"하겠다는 사명을 가진 미슐랭 2스타 셰프(Chef) '라스무스 뭉크(Rasmus Munk)'의 아이디어가 현실에서 구현되고 있는 공간이다. 북유럽에서 유명한(아니 어쩌면...세계적으로 유명한) 요리사인 뭉크는 "음식의 미래는 우리가 이미 버리는 것에 달려 있다"고 믿는 사람들 중 한 명이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가 유실되거나 낭비되는 음식(항공 산업으로 인한 배출량의 세 배 이상)으로 .. 2025. 5. 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