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5 음식물 쓰레기를 보석 장신구로 전환: 홍콩의 '웨이스 아웃(Ways Out)의 감동적인 여정 자원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 악화와 사회 불평등이라는 상호 연결된 문제에 직면한 세상에서 혁신적인 자원 재활용을 위한 해결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대이다. 홍콩의 '웨이스 아웃'(Ways Out) 이라는 작지만 의미있는 재활용 기업은 음식 쓰레기를 보석 장신구로 탈바꿈 시키는 창의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지속 가능성 및 사회적 책임이 어떻게 얽혀 의미 있는 변화를 사회 공동체 안에서 만들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빛나는 모범 사례 중 하나이다. 이 회사는 처음부터 사회적 기업 형태로 창업했다. 아울러, 심각한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소외된 여성들에게 기회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모델을 창업 초기부터 구축해 나갔다. '웨이스 아웃(Ways Out)의 핵심 임무는 크게.. 2025. 5. 14. 버려지는 식재료에서 건강한 영양 간식을 만드는 캐나다 핼리팩스의 아웃캐스트 푸드(Outcast Foods) 매일 쏟아지는 엄청난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직면한 오늘의 세상이다.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 핼리팩스에 이 문제를 해결할 뿐 만 아니라, 아이디어를 더해 새로운 식품을 만들고 있는 독특한 회사 하나가 있다. 2017년, 북미 아이스하키 리그 선수였던 TJ 갈리아르디, 그리고 영양 과학 전문가인 대런 버크 박사가 함께 설립한 아웃캐스트 푸드(Outcast Foods)! 버려지는 과일과 채소를 고부가가치의 식품 원료 및 소비자 제품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독특한 사업모델과 미래 성장가능성 덕분에 사업 초기에 1,420만 달러, 약 190억 원이 넘는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투자금으로 캐나다 온타리오에 공장을 새롭게 설립하였고, 이 공장만으로 연간 최대 400억 원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 2025. 5. 13. 블루 스트라이프스: 카카오의 혁신적 재활용 전통적인 초콜릿 생산 방식은 주로 카카오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콩"을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 열매 껍질의 70~75%가 쓰레기로 버려집니다. 세계 최대의 카카오 열매 생산국은 인도네시아로 전체 생산량의 17% 전후를 차지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약 50만 톤 이상의 카카오 열매 껍질이 쓰레기로 버려졌습니다. 카카오 쓰레기 50만 톤을 8톤 트럭으로 환산해 보면, 총 6만 2천 5백 대 분량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인 8톤 트럭의 길이는 약 10~12미터 정도입니다. 이런 대형 트럭들이 1열로 줄지어 쓰레기 매립지로 달려가고 있다고 상상을 해 보면, 총 길이는 약 625 킬로미터에서 750 킬로미터에 달합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직선 거리 약 325km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엄.. 2025. 5. 11. 버려지는 식재료를 고급 요리로 탈바꿈 하고 있는 음식의 연금술사-덴마크 코펜하겐의 레스토랑 '알케미스트'(Alchemist)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레프샬레엔(Refshaleøen, Copenhagen) 항구에 있는 2층 건물 주방에서는 초콜릿을 템퍼링하고 있고, 위층에서는 타코와 단백질 바가 서빙되고 있다.이곳은 최근 문을 연 스몰 플레이트 레스토랑의 오픈 행사가 아니라, 우리가 먹는 음식을 "고차원으로 업그레이드(업사이클링)"하겠다는 사명을 가진 미슐랭 2스타 셰프(Chef) '라스무스 뭉크(Rasmus Munk)'의 아이디어가 현실에서 구현되고 있는 공간이다. 북유럽에서 유명한(아니 어쩌면...세계적으로 유명한) 요리사인 뭉크는 "음식의 미래는 우리가 이미 버리는 것에 달려 있다"고 믿는 사람들 중 한 명이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가 유실되거나 낭비되는 음식(항공 산업으로 인한 배출량의 세 배 이상)으로 .. 2025. 5. 9. 뉴스 기사에서 나타난 통계 숫자로 엿보는 플라스틱 생산과 재활용 현황 (2022년 기준) 플라스틱 생산-소비-수거-폐기 혹은 재활용으로 이어지는 자원 순환의 사이클이 2025년 4월 현재에도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아래의 한겨례 신문 기사와 기사에서 언급된 과학 논문 저널로 널리 알려진 ‘네이처 지’에 실린 통계 숫자가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 전 세계 플라스틱 연간 증가율 8%. 재활용은 단지 10%. 2022년 플라스틱 생산량 4억 톤이나 재활용 비율은 9.5%(3796만톤)에 불과. - 플라스틱 생산 원료 98%는 화석연료(석탄 44%, 석유 40%, 천연가스 8%, 코크스 5% 순), 2%만 바이오 연료로 생산. - 플라스틱 최대 생산국 중국(32%), 미국과 유럽연합이 각각 14%, 중동과 인도가 각각 5% 순. - 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업은 건.. 2025. 4. 12. 자원재활용과 장애인 고용,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마카오 Macao 기업: "행복 마켓 사회적 기업" 마카오에 가면 한국의 '아름다운 가게'와 같은 비슷한 개념으로 운영되는 중고 제품 교환 및 판매 업체가 있다. 하지만, 기업 내부를 들여다 보면 일하는 사람들이 모두 장애인들이다. 그래서 소개한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동체에 주는 메시지는 좀 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 같아서... 기업의 이름은 '사람들이 행복하게 시장으로 모이는 것'을 의미하는 '행복 마켓(Happy Market)'이다. 마카오 푸홍 협회의 비영리 이니셔티브인 '행복 마켓 사회적 기업(Happy Market Social Enterprise, 喜悅市場社會企業)'이 정식 명칭이다. 운영의 주체는 '마카오 푸홍 협회(Fuhong Society of Macau)'라는 곳이다. 사회 복지와 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는 자원 순환형.. 2025. 4. 10.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