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은 중국 톈진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중국의 대담한 발걸음이 시작된 시점이다. 중국 정부의 주도하에 중국 자원 재활용 그룹 유한회사(CRRG)이 중국의 재활용 및 순환 경제 부문에서 선두주자로 등장했다. 2024년 10월에 설립된 이 회사는 자원 재활용을 혁신하고 환경 책임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속 가능성에 뿌리를 둔 티엔진의 비전
차이나 자원 재활용 그룹(CRRG, China Resources Recycling Group, 中国资源循环集团有限公司)은 중국의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의 주도로, 중국 바오우 강철그룹, 시노펙 그룹, 중국 자원 홀딩스, 중국 알루미늄 공사(Chinalco), 중국 금속광업공사 등 산업을 이끄는 대기업들이 모두 투자자로 참여한 가운데 설립되었다.
이들 주주들은 중국의 재활용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는 절박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회사 출범을 위해 100억 위안이라는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다. (*100억 위안(CNY)는 미국 달러로 약 15억 3,787백만 달러이고, 한국 원화로는 약 1조 9,668억 원 규모의 막대한 투자금액이다)
이 사업은 철강을 수집하고, 비철금속 및 기타 재활용 가능한 자원의 재활용과 활용을 최적화하려는 공동의 비전에서 시작되었다. 자원이 풍부한 중국이기는 하지만, 14억 이상의 중국 인구가 미래 세대까지 계속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자원은 여전히 부족한 것이 냉엄한 현실이다.
지속 가능한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솔루션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한 가운데, CRRG는 중국의 원자재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환경 오염을 완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립자의 사명과 리더십
CRRG의 창립은 중국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헌신한 경영진과 환경 비전가들의 협력으로 구성되었다. 거대한 조직을 이끄는 인물은 장웨이(张伟) 회장으로, 자원 관리 및 산업 지속 가능성 분야에서 수십 년의 경험을 보유한 업계 베테랑이다. 장 회장은 과거 중국 바오우강철그룹의 고위 임원을 역임하며, 순환 경제 원칙을 중국 산업 구조에 도입하는 데 앞장서 온 인물이다.
이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함께하는 또 다른 핵심 인물은 류밍(刘明) 최고경영자(CEO)이다. 시노팩(Sinopec)에서 전략 기획자로 활동했던 류 CEO는 재활용 공정에 첨단 기술을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CRRG가 최첨단 폐기물 회수 및 자원 재생 솔루션을 도입하도록 이끌고 있다.
- 시노팩: 중국의 국영 석유화학 기업으로, 정식 명칭은 China Petrochemical Corporation. 중국어로는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중국 석유화공 고분 유한공사)라고 한다. 시노팩은 세계 최대의 정유, 가스, 석유화학 복합기업 중 하나이다.
장 회장과 류 CEO의 리더십 아래, CRRG는 전국적인 재활용 시설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시작했으며, 효율적인 역물류 시스템을 촉진하고, 폐기된 풍력 터빈, 태양광 패널 및 전력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혁신적인 방법에 투자하고 있다.
전국적인 영향력
CRRG의 운영은 톈진(Tianjin)을 넘어 중국 전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주요 산업 도시들에 재활용 허브를 건설할 계획이며, 연간 총 2억 6천만 톤 이상의 수집된 철강을 재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구촌 핵심 문제 중 하나인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이고 재활용 산업 관련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CRRG는 지방 정부 및 민간 기업과 협력하여 통합된 재활용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 인식 캠페인을 시작하고,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관행을 채택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환경 보호를 지원하는 규제 개혁을 추진 중이다.
중국 티엔진 시(市)의 재활용 산업의 미래
중국이 국가적으로 "탄소 중립" 목표 아래 친환경 이니셔티브를 우선시하는 가운데, CRRG는 중국 정부의 막대한 자금 지원 아래 지속 가능한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 있다. 야심 찬 로드맵과 환경 보호에 대한 확고한 헌신을 바탕으로, 이 회사는 재활용 산업을 재정의하고 더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중국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웨이 회장과 류밍 CEO의 리더십 아래, CRRG의 여정은 이제 시작되었지만, 중국의 순환 경제 미래에 미칠 영향은 이미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중국 북부에 위치하면서 자동차, 항공우주, 전자제품 등 제조업 중심 도시이며, 물류의 중심이기도 한 티엔진(Tianjin, 천진)에 본부를 두고 있는 '차이나 자원 재활용 그룹'의 움직임을 계속 따라가면 중국 정부 차원의 재활용 산업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 지를 좀더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참고자료 References]
- CGtN, "China establishes new centrally administered SOE on resource-recycling Environment" 19-Oct-2024 https://news.cgtn.com/news/2024-10-19/China-establishes-new-centrally-administered-SOE-on-resource-recycling-1xP6lP6RZa8/p.html
- IEA, "Establishment of the China Resources Recycling Group", 25 October 2024 https://www.iea.org/policies/25207-establishment-of-the-china-resources-recycling-group
- China Daily, "China establishes new centrally administered SOE on resource-recycling", Xinhua | Updated: 2024-10-18 https://www.chinadaily.com.cn/a/202410/18/WS67124e87a310f1265a1c8676.html
- Sylvie Zhuang, "China to get first centrally run recycling enterprise as Xi Jinping pushes green economy",
- South China Morning Post, 18 Oct 2024 https://www.scmp.com/news/china/politics/article/3282995/china-get-first-centrally-run-recycling-enterprise-xi-jinping-pushes-green-economy
- Ann Kühlers, "China launches state-owned recycling enterprise", EUWID, 29 October 2024 https://www.euwid-recycling.com/news/policy/china-launches-state-owned-recycling-enterprise-291024/
- YANG CHENG in Tianjin, "SOE to speed up nation's recycle drive", China Daily | Updated: 2024-10-23 https://www.chinadaily.com.cn/a/202410/23/WS671854dfa310f1265a1c9114.html
- 《财经》记者 徐沛宇, "新央企中国资源循环集团成立,中国绿发原董事长出任一把手"(*새로운 중앙기업인 중국자원순환그룹이 설립되었고, 중국녹색발전그룹의 전임회장이 최고경영자로 임명되다-운영자 번역), 腾讯QQ, 2024-10-19 https://news.qq.com/rain/a/20241019A06RIR00
'순환경제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광저우 대학생의 헌 옷 재활용 아이디어가 국제 비즈니스로 꽃피웠다 (1) | 2025.02.15 |
---|---|
나뭇잎이 회전하면서 발전이 되는 풍력 에너지 솔루션: 뉴월드윈드(New Wind World) (0) | 2025.02.12 |
중국 충칭의 폐기물-에너지 변환 솔루션 선도기업: 산펑 코반타 환경 산업 유한회사 (0) | 2025.02.10 |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의류 재활용 회사: 리클로우씽 뱅크(Reclothing Bank) (1) | 2025.02.09 |
중국 베이징의 업사이클링(Up-Cycling) 기업: 더 벌크 하우스(The Bulk House) (1) | 2025.02.03 |